저는 아직 QA 2년차 주니어라 QA 관련해서 궁금한 것들이 항상 많습니다.
그럴 때마다 구글에 QA 관련한 글들을 검색해서 많이 찾아보곤 하는데요.
오늘은 우연찮게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기술블로그 내에 있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서비스품질파트에 대한 소개글'이 있어 일부 내용을 가져와봤습니다.
먼저,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서비스품질파트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기술 플랫폼과 솔루션 전반의 품질 보증을 책임지고 있는 팀이라고 해요.
서비스품질파트가 수행하고 있는 QA 활동, 업무 방향성 및 업무 방식등에 대해 소개되어 있더라고요.
소개글 제목은 '테스트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QA는 준비된 자만이 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기반테스팅 #RST #테스트자동화'
제목만 보고도 내용이 너무 궁금해지는 제목이죠 ? ㅎㅎ
먼저, QA는 Test일까? 라는 질문으로 내용이 시작되어요.
QA는 Test일까요?
QA는 Test가 아니다! 가 정답입니다.
QA는 서비스 기획 단계부터 참여하여 개발, 테스트 그리고 출시까지의 전체 소프트웨어 라이프 사이클 전반에서 잠재적인 품질 리스크를 찾아내어 프로젝트 참여자들과 공유하며, 해당 서비스가 최종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충족하는지에 대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며 QA 업무에 있어서 테스트는 다양한 QA 활동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다고 말하네요.
또한, QA 목표는 프로젝트 목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서비스 품질을 보증하여 비즈니스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사용자에게 최대의 서비스 가치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QA의 테스트 방법론은 여러개가 존재하지만, 그 중 ISO/IEEE 29119-2 표준의 동적 테스트 프로세스(Dynamic Test Processes)가 가장 널리 활용한다고 해요.
그리고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서비스품질파트에서는 효율적인 QA를 위해 QA 구성원 모두가 Quality Accelerator의 역할을 수행하며, Test Case 설계 및 수행 등의 단순한 ‘테스트 활동’ 보다는 효율적이고 이상적인 ‘테스트 방법’을 끊임없이 탐색하고 고도화시키는 전략을 취하고 있고
이런 전략은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시간과 인적 자원 등을 절감하는 고효율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는데요. 이런 전략의 방법론으로서 저희는 ‘리스크 기반 테스팅’, ‘RST(Rapid Software Testing) 방법론’, 그리고 테스트 자동화 등을 프로젝트에 유연하게 적용하고 있다고 하네요.
‘리스크 기반 테스팅’, ‘RST(Rapid Software Testing) 방법론’, 그리고 테스트 자동화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문에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아래 출처 링크를 참고해서 한번 내용을 찬찬히 살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출처: https://tech.kakaoenterprise.com/104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기술블로그 Tech&(테크앤)]
그럼 다른 기업의 QA팀의 소개글을 발견한다면, 그때 다시 찾아올게요! 안녕~
